전체주의의 기원 1권을 읽고 있는 중이다.
오항녕 교수님이 꾸려가시는 인간+X라는 세미나에서 읽어나가는 중인데,
이제 6장까지 읽었다.
그런데 그 와중에 부르주아에 대한 개념과 '폭민'이라는 개념을 통해
우리나라 현대 정치, 예컨데 츠키야마 아키히로(한국명 이명박)이 대통령이 될 수 있었던 이유에 대해 이해할 수 있었다.
298쪽. 부르주아 계급을 탄생시킨 이른바 자본 축적은 재산과 부의 개념 자체를 변화시켰다. 재산과 부는 이제 축적과 획득의 결과가 아니라 시작으로 간주된다. 부르주아 계급을 소유 계급으로 분류하는 것은 단지 피상적으로 정확할 뿐이다. 왜냐하면 삶을 영원히 부유해지는 과정으로 생각하는 사람이나 돈을 단순히 소비를 위해 유용한 물건이 아니라 어떤 신성한 것으로 간주하는 사람이면 누구나 이 계급에 속할 수 있다는 것이 이 계급의 특징이기 때문이다.
314쪽. 폭민은 성장하는 산업 노동자와도 또 더욱 분명하게는 국민 전체와도 동일시될 수 없으며, 실제로 모든 계급의 폐물들로 구성되었다는 사실이었다. 폭민은 이렇게 구성되었기 때문에 폭민과 그 대표자들이 계급 차이를 폐지한 것처럼 보였고, 또 계급 국가의 밖에 있는 그들은 왜곡된 형태 또는 희화화된 형태의 국민이라기보다는 국민 자체(나치가 말하듯이 국가 공동체)처럼 보였다. 역사적 염세주의자들은 이 새로운 사회계층의 본질적인 무책임성을 알았고 또 민주주의가 전제정치로, 그 독재자들이 폭민에게서 발생하고 폭민을 지지 기반으로 둘 그런 전제정치로 바뀔 가능성을 정확하게 예측했다. 그들이 알지 못한 사실은 폭민이 부르주아 사회의 폐물일 뿐만 아니라 이 사회가 직접 생산한 부산물이며, 그래서 결코 이 사회와 분리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 두가지 정의를 통해, 한국사회가 지금 이렇게 굴러가는 원인에 대한 단초를 얻었다.
오항녕 교수님이 꾸려가시는 인간+X라는 세미나에서 읽어나가는 중인데,
이제 6장까지 읽었다.
그런데 그 와중에 부르주아에 대한 개념과 '폭민'이라는 개념을 통해
우리나라 현대 정치, 예컨데 츠키야마 아키히로(한국명 이명박)이 대통령이 될 수 있었던 이유에 대해 이해할 수 있었다.
298쪽. 부르주아 계급을 탄생시킨 이른바 자본 축적은 재산과 부의 개념 자체를 변화시켰다. 재산과 부는 이제 축적과 획득의 결과가 아니라 시작으로 간주된다. 부르주아 계급을 소유 계급으로 분류하는 것은 단지 피상적으로 정확할 뿐이다. 왜냐하면 삶을 영원히 부유해지는 과정으로 생각하는 사람이나 돈을 단순히 소비를 위해 유용한 물건이 아니라 어떤 신성한 것으로 간주하는 사람이면 누구나 이 계급에 속할 수 있다는 것이 이 계급의 특징이기 때문이다.
314쪽. 폭민은 성장하는 산업 노동자와도 또 더욱 분명하게는 국민 전체와도 동일시될 수 없으며, 실제로 모든 계급의 폐물들로 구성되었다는 사실이었다. 폭민은 이렇게 구성되었기 때문에 폭민과 그 대표자들이 계급 차이를 폐지한 것처럼 보였고, 또 계급 국가의 밖에 있는 그들은 왜곡된 형태 또는 희화화된 형태의 국민이라기보다는 국민 자체(나치가 말하듯이 국가 공동체)처럼 보였다. 역사적 염세주의자들은 이 새로운 사회계층의 본질적인 무책임성을 알았고 또 민주주의가 전제정치로, 그 독재자들이 폭민에게서 발생하고 폭민을 지지 기반으로 둘 그런 전제정치로 바뀔 가능성을 정확하게 예측했다. 그들이 알지 못한 사실은 폭민이 부르주아 사회의 폐물일 뿐만 아니라 이 사회가 직접 생산한 부산물이며, 그래서 결코 이 사회와 분리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 두가지 정의를 통해, 한국사회가 지금 이렇게 굴러가는 원인에 대한 단초를 얻었다.